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눅스마스터 1급 정리
- Linux
- 문자열
- 리눅스
- 리눅스마스터1급
- 카카오
- 백준 javascript
- 고잉버스
- 스프링 빈
- 월간코드챌린지
- 명령어
- Java
- java 백준 1차원 배열
- JavaScript
- map
- 스프링 컨테이너
- 프로그래머스
- GoingBus
- 코딩테스트
- 자바스크립트 코딩의 기술
- toCharArray
- 개발자 회고록
- 백준 java
- 코테
- 리눅스마스터 3과목
- 연습문제
- 반복문
- Memoir
- Kotlin
- 자바
- Today
- Total
목록 BIND (2)
hoon Dev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QxFC/btsFiOTBjRk/BM0dotfTfo93U6dd5kQVd1/img.jpg)
8장 클래스로 인터페이스를 간결하게 유지하라 tip40. get과 set으로 인터페이스를 단순하게 만들어라 이전 팁에서 사용한 코드를 활용하여, 클래스는 아래 코드처럼 속성에 접근하여 변경도 가능하다. class Coupon { constructor(price, expiration) { this.price = price; this.expiration = expiration || '2주'; } getPriceText() { return `$ ${this.price}`; } getExpirationMessage() { return `이 쿠폰은 ${this.expiration} 후에 만료됩니다.`; } } const coupon = new Coupon(5); coupon.price = '$10'; coup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q1zT/btr2IwohKeO/eMffl4qzgRyFgU1TYo4DpK/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는 PL/pgSQL에서 변수와 상수를 정의하고 사용하는 내용에 대해 정리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변수란 어떤 값을 가지고 있으면서, 필요할 경우 그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변수는 그 이름과 변수가 가지는 값의 타입을 지정해야 합니다. 변수의 이름은 개발자에게 의미있는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 좋고, 값의 타입은 integer, numeric, char, varchar 등과 같이 각각 정수, 실수, 문자, 가변길이 문자 등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선언 시에 기본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지정하지 않는다면 그 변수의 값은 NULL 값을 갖게 됩니다. 다음은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하는 PL/pgSQL 코드입니다. 특히 아래의 코드는 함수를 정의하지 않고 바로 PL/pgS..